본문 바로가기
요리

바지락 칼국수 맛있게 끓이는법ㅣ황금레시피

by 요리조리V 2025. 9. 14.
반응형

바지락칼국수는 시원한 바지락 육수에 쫄깃한 칼국수 면을 넣어 끓여낸 한국의 대표적인 국물 요리입니다. 담백하면서도 깊은 해물 맛 덕분에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메뉴로, 특히 더운 여름철과 추운 겨울철 모두 잘 어울립니다. 

 

오늘은 바지락칼국수 맛있게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에 글 전체를 요약해 놓았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1. 🦪 재료

1) 기본 재료

바지락 500g, 칼국수 면 2인분, 애호박 1/2개, 감자 1개, 양파 1/2개, 대파 1대. 바지락은 싱싱한 것을 준비해야 시원한 국물 맛이 제대로 납니다.

2) 육수 재료

멸치 10마리, 다시마 1장, 마늘 5쪽, 물 8컵. 해물 맛을 더 풍성하게 내기 위해 멸치와 다시마를 함께 사용합니다.

3) 양념 재료

국간장 2큰술, 소금 약간, 후추 약간. 국간장은 국물 맛을 깊게 하고, 소금은 마지막 간 맞추기에 사용합니다.

2. 🍳 만드는 방법

바지락 칼국수 맛있게 끓이는법(사진:만개의 레시피)

1) 바지락 해감

바지락은 소금물에 담가 어두운 곳에서 2시간 정도 두어 해감을 시킵니다. 해감을 제대로 해야 바지락 특유의 모래 씹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육수 끓이기

냄비에 물을 넣고 멸치, 다시마, 마늘을 넣어 끓입니다. 끓어오르면 다시마는 건져내고, 멸치는 15분 정도 더 끓여 깊은 맛을 우려냅니다.

3) 채소 손질

애호박은 반달 모양으로 썰고, 감자는 도톰하게 반달 모양으로 썹니다. 양파는 채 썰고 대파는 어슷하게 썰어줍니다.

4) 바지락 삶기

육수가 준비되면 해감한 바지락을 넣고 끓입니다. 바지락이 입을 벌리면 건져내고 국물은 체에 걸러 맑게 준비합니다.

5) 국물 끓이기

바지락 국물에 감자와 애호박, 양파를 넣고 끓이다가 반쯤 익으면 칼국수 면을 넣습니다. 면이 퍼지지 않도록 중불에서 끓여야 합니다.

6) 마무리

마지막에 국간장과 소금, 후추로 간을 맞추고 대파를 넣어 2분 정도 더 끓입니다. 시원하고 담백한 바지락칼국수가 완성됩니다.

3. 🍽️ 같이 먹으면 좋은 음식

1) 김치류

배추김치, 열무김치와 함께 곁들이면 시원한 국물과 아삭한 김치가 잘 어울립니다.

2) 전

해물파전이나 김치전과 함께 곁들이면 더욱 푸짐한 한 끼가 됩니다.

3) 밥

칼국수 국물에 밥을 말아 먹으면 또 다른 별미를 즐길 수 있습니다.

4. 🥡 보관과 응용

1) 보관 방법

칼국수는 면이 불기 쉬워 바로 먹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남으면 면은 건져 따로 보관하고, 국물은 냉장 보관 후 다시 끓여 사용합니다.

2) 응용 요리

바지락 국물에 수제비 반죽을 넣어 바지락수제비로 활용하거나, 라면사리를 넣어 해물라면처럼 즐겨도 좋습니다.

5. ⚖️ 칼로리 및 영양

바지락칼국수 1인분은 약 350kcal입니다. 바지락은 철분과 아연이 풍부하여 빈혈 예방에 좋고, 칼국수 면은 탄수화물로 에너지를 제공합니다. 영양 균형이 잘 맞는 한 끼 식사입니다.

6. 📋 만드는 방법 요약표

단계 설명
1 바지락 소금물에 해감하기
2 멸치·다시마 넣고 육수 끓이기
3 애호박·감자·양파 등 채소 손질
4 바지락 삶아 국물 체에 거르기
5 칼국수 면과 채소 넣고 끓이기
6 간 맞추고 대파 넣어 완성

7. ❓ 자주묻는질문

1) 바지락 해감을 잘하려면?

소금물에 바지락을 담아 어두운 곳에 두면 모래가 잘 빠집니다. 철망 위에 올려 해감하면 모래가 다시 섞이지 않습니다.

2) 국물이 탁해져요.

바지락을 오래 끓이면 국물이 탁해집니다. 입이 벌어지면 바로 건져내야 맑은 국물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면이 불어요.

칼국수 면은 마지막에 넣고 바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남으면 면과 국물을 따로 보관하세요.

8. ✅ 결론

바지락칼국수는 시원하고 담백한 국물과 쫄깃한 면발이 매력적인 요리입니다. 집에서도 정성껏 만들면 외식 부럽지 않은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왼쪽 아래 공감(♥)버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지락 칼국수 맛있게 끓이는법(사진:만개의 레시피)

반응형